경찰 쪽 “집회도중 드러눕는 바람에 시비 생겨”

관련기사
'노란봉투법 집회' 전장연 활동가, 경찰과 충돌…2명 체포 - 한겨레
Read More
정부는 이와 함께 근로시간 전면 개편보다는 완화된 '보완 방향'도 함께 발표할 예정입니다.
김평정 기자입니다.
[기자]
정부가 내일 근로시간 개편과 관련한 국민 6천 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합니다.
예산 4억6천만 원을 투입해 지난 6월부터 석 달가량 대규모로 실시한 내용입니다.
설문조사는 지난 3월 근로시간 개편안이 처음 발표된 뒤 '주 최대 69시간' 논란이 거세게 일자 윤석열 대통령이 여론을 수렴해 보완하라고 지시하면서 이뤄졌습니다.
현행 제도인 주 52시간제와 함께 주 최대 69시간 논란에 대한 국민의 인식이 어떻게 나올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앞서 한국노총이 천 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로는 주 최대 69시간 근로에 대해 반대한다는 응답이 66%였습니다.
다만 이번 발표에서 정부의 근로시간 개편 수정안이 공개되는 것은 아닙니다.
고용노동부는 대신 '보완방향'을 제시하겠다고 설명했는데 이에 따라 주 최대 근로시간 등의 구체적 수치는 나오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정식 / 고용노동부 장관 (지난달 12일) : 근로시간은 설문조사 결과분석이 마무리되는 대로 투명하게 설명드리고 보완 방향을 마련하겠습니다.]
'주 60시간' 등과 같은 일률적 시간 증가보다는 '주 52시간제 유연화'라는 기조 아래 업종별로 기준을 다양화할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수정된 개편안을 도출하는 데 시간이 더 걸릴 예정이어서 관련 법안 제출은 올해를 넘길 것으로 보입니다.
내년 4월 총선도 있는 만큼 근로시간 개편 작업이 더욱 순탄하지 않을 거란 전망도 나옵니다.
이에 대해 고용노동부는 선거 등 정치적 상황과 관계없이 근로시간 개편을 포함한 노동개혁 과제는 차질없이 추진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YTN 김평정입니다.
YTN 김평정 (pyung@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소나무 에이즈로 불리는 재선충병이 2년 새 3배 가까이 급증했습니다.
기후 변화로 재선충의 활동은 활발해지는 데, 방제 예산을 줄인 것이 원인으로 꼽힙니다.
결국, 내년도 방제 활동이 재선충병 '대 확산'의 고비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김진두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포항 부근에 있는 숲입니다.
녹색 수목 사이에 노랗게 변한 소나무가 보입니다.
치명적인 재선충에 감염돼 말라 죽은 겁니다.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가 나무에 알을 낳고 그 알이 유충이 되면 재선충이 침투합니다.
감염된 유충이 성충이 된 뒤 소나무 잎을 갉아먹을 때 재선충이 옮겨가는 방식으로 병이 퍼집니다.
지난 2014년 2백만 그루 넘게 감염되는 '대 확산' 이후 감소세를 보이던 재선충병이 올해 100만 그루를 넘겼습니다.
2년 새 3배 가까이 급증한 겁니다.
가장 큰 원인으로는 기후 변화가 꼽힙니다.
[한혜림 / 산림과학원 산림 병해충 연구과 : 봄철 고온으로 매개충의 활동 시기가 빨라지고, 산불 확산으로 재선충병 대응 인력이 분산된 탓도 있습니다.]
거기에 재선충병이 감소하며 안정세를 보이자 방제 예산을 줄인 것도 문제로 지적됩니다.
2014년 이후 매년 늘던 방제 예산은 2017년을 기점으로 줄었고, 지난해에는 2015년 대비 절반 정도에 불과했습니다.
올해 감염된 나무가 급증하자 예산을 추가 투입했지만, 효과가 바로 나타나지는 않습니다.
[남상현 / 산림청장 : 재선충병은 곤충과 수목, 질병이 한데 얽혀있어 첨단 과학으로도 해법을 찾기 어려운 산림 병해충입니다. 따라서 재선충병의 확산을 막으려면 꾸준한 관심과 함께 매년 지속적으로 방제에 나서는 것이 최선의 대처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014년 '대 확산'으로 집중 방제가 이뤄졌지만, 가시적인 효과는 5년 이후에나 볼 수 있었습니다.
결국, 내년도 방제의 강도가 재선충병이 다시 '대 확산'할지 아니면 감소할지를 가르는 중요한 고비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YTN 김진두입니다.
YTN 김진두 (jdkim@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대한민국 24시간 뉴스 채널 [YTN LIVE] 보기 〉
대화로 배우는 이 세상 모든 지식 [이게 웬 날리지?]
탈옥수 김길수가 사흘동안이나 경찰을 따돌릴 수 있었던 것은 촘촘한 폐쇄회로(CC)TV망을 교묘하게 피하고 동선을 복잡하게 만들면서 추적에 혼선을 줬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해당 사안에 정통한 경찰에 따르면 김 씨를 검거하는 데 이같이 시간이 소요된 것은 김 씨가 경찰이 CCTV를 확인해 포위망을 좁혀올 것을 알고 의도적으로 동선을 복잡하게 만드는 등 추적에 혼선을 줬기 때문이었다. 경찰이 확인한 CCTV 영상에서 김 씨의 동선은 일정하게 이어지지 않고 중간 중간 끊기듯 나타나 신원 식별에 어려움이 가중됐다고 한다.
가령 김 씨가 지난 4일 서울 고속버스터미널에 들렀을 때도 들어갔다 나왔다 하는 행동을 수차례 반복하며 경찰 추적을 어렵게 만들었다. 경찰 관계자는 “김 씨는 지하철에서 하차할 때도 탑승객 바로 뒤에 밀착해서 나가는 등 CCTV 추적을 교묘하게 피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CCTV 카메라를 일일이 들여다보느라 시간이 많이 소요될 수밖에 없었던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시에 따르면 올해 6월 기준 서울시 내에는 9만2991대에 이르는 CCTV가 설치돼 있다. 그럼에도 그는 서울 노원·광진·서초·동작구를 비롯해 경기도 의정부시와 양주시 등 6개 지역을 활보했다.
도주 당일인 지난 4일 9시 50분께 서울 강남고속터미널에서 사평역으로 이동한 김 씨는 택시를 타고 노량진에 들렀다가 5일 새벽 2시 택시를 타고 동생 집이 있는 양주로 이동해 노숙하며 몸을 숨겼다.
경찰의 눈을 따돌리기 위해 여러 차례 옷을 갈아입으며 철저히 위장하기도 했다. 도주 당시 그는 푸른색 계열 상하의를 착용했지만, 이후 베이지색 계열 상하의에 검은색 운동화로 갈아 입었다. 체포 당시에는 검은색 점퍼와 회색 티셔츠, 검은색 바지로 갈아입은 상태였다. 도주 중간에 미용실에 들러 머리스타일을 단정하게 자른 것으로 알려졌다.
김 씨는 6일 오후 9시 24분께 경기 의정부시 가능동의 한 공중전화 부스 인근에서 검거됐다. 당시 그는 공중전화를 이용해 여자친구에게 전화를 걸었는데, 공중전화 부스 위치를 파악한 경찰은 현장에 출동해 김 씨를 붙잡았다. 특수강도 혐의로 서울구치소에 수용됐다 “화장실에 가겠다”며 수갑을 잠시 푼 틈을 타 도주한 지 63시간만에 그의 도피행각은 비로소 마침표를 찍었다.
[unable to retrieve full-text content]
[앵커]
날씨가 다시 초겨울로 돌아왔습니다.
주말인 내일은 기온이 더 떨어지겠고, 올가을 첫 영하권을 보일 텐데요.
이번 추위는 다음 주 초까지 계속되겠습니다.
자세한 날씨는 기상캐스터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구본아 캐스터. 내일은 더 춥다고요?
[캐스터]
네 그렇습니다.
겨울용 패딩 꺼내두셔도 좋을 텐데요.
오늘도 낮에도 서울 7.4도에 그치는 등 종일 쌀쌀했는데, 밤사이 찬바람은 한층 더 강해지겠습니다.
내일 아침 서울 영하 3도로, 올가을 들어 첫 영하권이겠고요.
휴일인 모레도 초겨울 추위가 기승을 부리겠습니다.
기온이 크게 떨어지는 일부 강원도와 충북, 남부내륙을 중심으로는 한파특보가 발표됐습니다.
내일 아침은 중부와 남부 할 것 없이 영하권으로 내려가겠고요.
주말 아침 서울 영하 2도, 강원도 철원이 영하 7도, 전주가 영하 1도를 보이겠습니다.
내일 별다른 비 소식 없이 하늘은 맑겠습니다.
하지만, 낮에도 찬바람이 계속되기 때문에 무엇보다 보온에 가장 신경을 써주시는게 좋겠고요.
내륙 곳곳에는 서리가 내리거나, 얼음이 얼겠습니다.
호남해안으로는 강풍주의보가 발효 중입니다.
내일 해안가와 호남내륙 중심으로 초속 15~20M 안팎의 강한 바람이 불겠고요.
대부분의 해상에서 물결이 4M 안팎까지 높게 일겠습니다.
일요일과 월요일 사이 호남서해안과 제주에 비가 내리겠고요.
내륙지방은 당분간 맑은 날이 이어지겠고, 다음주 초까지 초겨울 추위가 나타나겠습니다.
생활날씨였습니다.
(구본아 기상캐스터)
#주말날씨 #내일날씨 #첫영하권 #초겨울추위 #찬바람 #서리 #얼음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한겨레신문 등록번호:서울,아01705 등록·발행일자:2011년 7월 19일 사업자등록번호:105-81-50594 발행인:최우성 편집인:김영희 청소년보호책임자:김영희 주소:서울특별시 마포구 효창목길 6 고객센터:156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