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8일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추진단)에 따르면 이달 6일 0시 기준으로 국내에서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한 뒤 이상반응이 신고된 사례는 총 3만4천135건으로, 신고율은 0.35%로 집계됐다.
신고된 사례 가운데 94.8%에 해당하는 3만2천355건은 근육통, 두통 등 접종 후 있을 수 있는 이상반응 증상이었으나, 1천780건(5.2%)은 사망(208건) 또는 아나필락시스(257건) 의심 등 중대한 이상반응 사례였다.
신고율을 보면 여성(0.4%)이 남성(0.2%)의 배 가까이 됐다.
연령대로는 18∼29세가 1.9%로 가장 높았고, 75세 이상 고령층이 0.17%로 가장 낮았다.
접종한 백신 종류로 사펴보면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 0.46%, 화이자 백신 0.2% 등이었다.
이상반응으로 신고됐을 당시 사망한 사례는 총 208명으로, 접종건수 10만건당 2.11명 수준이었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자가 72명(10만건 당 1.30명), 화이자 접종자가 136명(10만건 당 3.15명)이었다.
추진단은 "화이자 백신 접종자 가운데 이상반응 사망 신고가 많은 것은 (화이자 백신의) 접종 대상자가 75세 이상 어르신과 노인시설 입소자 등과 같은 고령층이기 때문으로 분석된다"고 밝혔다.
접종 차수별로 이상반응 신고율을 보면 화이자 백신은 1차 0.16%, 2차 0.26% 등으로 1차보다 2차 접종 때 신고율이 더 높았다. 반면, 아스트라제네카는 1차(0.50%)보다 2차 접종 후 신고율(0.15%)이 낮아졌다.
추진단은 "아스트라제네카와 화이자 등 두 백신 모두 연령이 낮을수록 2차 접종 후 신고율이 높은 양상"이라면서도 "신고율은 접종 초기에 비해 점차 낮아지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백신 이상반응 신고율 0.35%…화이자 2차, AZ 1차 때 신고 많아 - 매일경제
Read More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