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운동연합 “민관학연 공동조사단 꾸려야”
환경운동연합 회원들이 11일 오전 서울 종로구 환경운동연합 마당에서 대형산불 피해지역에 대해 ‘모두베기’ 등 인공조림이 아닌 자연복원력에 기반을 둔 복구 계획 수립을 촉구하는 내용의 행위극을 하고 있다. 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지난 3월 경북 울진·강원 삼척 등에서 발생한 대형산불 피해 복구는 인공적으로 나무를 심는 방식이 아니라 자연복원에 맡겨야 한다는 환경단체 주장이 나왔다. 환경운동연합은 11일 서울 종로구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초대형산불이 발생한 지 두 달이 넘었지만, 산림청과 환경부가 산불피해지 복구계획을 발표하지 않고 있다”며 “산림청과 환경부는 자연복원을 기본원칙으로 하고 조림은 선택적으로 하는 산불피해지 복구계획을 수립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 단체는 그 이유로 인공조림에 따른 2차 생태계 피해를 들었다. 환경운동연합은 “긴급벌채와 인공조림 위주의 산불피해지 복구방식을 답습해 2차 생태계 피해를 일으키고 세금을 낭비할까 우려된다”며 “인공조림 사업지에는 사방댐과 임도 등 산림토목 공사가 진행되는데 이로 인한 토양침식, 유수 유출 등의 2차 생태계 피해를 초래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산불 피해목을 벌채하고 옮기는 과정에서 심각한 토양침식을 초래하고, 이는 표토와 토양영양분 손실로 이어져 자연 복원력을 감소시킨다. 인공조림은 자연복원이 어렵고 산사태 위험이 큰, 긴급한 지역에 한해 시행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맹지연 환경운동연합 자연생태위원회 전문위원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국제사회에서는 대형산불 등 훼손된 자연의 복원에 ‘창의성을 발휘하지 말고 자연복원을 모방하라’는 대원칙을 따르고 있다”며 “우리나라는 1970년대 이후 목재 연료의 의존도가 낮아지고,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숲이 자연 복원력을 갖게 됐다. 그런데 산림청은 아직도 1970년대 이전의 인공조림 신화에 젖어있는 게 문제”라고 말했다. 환경운동연합은 산림청과 환경부, 국회가 자 연복원을 산림피해 복구의 원칙으로 하는 전환을 이끌어야 한다고 요구했다. 또 이를 위해 산불피해지 복원을 위한 민관학연 공동조사단을 구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윤주 기자
kyj@hani.co.kr
Adblock test (Why?)
“울진·삼척 산불 피해 복구, 인공조림 대신 자연복원으로 해야” - 한겨레
Read More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