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정부 수립 뒤 역대 장관 가운데 여성이 차지하는 비율은 6.36%에 불과했다. 게티이미지뱅크
“그런 것은 따로 관리하고 있지 않습니다.” 한국 역대 장관의 성별 정보를 요청하자, 인사혁신처 관계자가 한 말이다. 인사혁신처에 이런 정보를 문의한 것은 이 부처가 공무원의 인사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중앙행정기관이기 때문이다. 국무조정실로 눈을 돌렸다. “우리 소관이 아니다. 행정안전부에 물어보라”는 답이 왔다. 행안부도 다르지 않았다. 관련 정보는 어디에도 없었다. 역대 장관의 정보를 파악하려고 한 취지는 단순했다. 장관은 행정 각부의 우두머리로, 여성 장관 비율은 공직 사회는 물론, 그 사회의 성평등 수준을 엿볼 수 있는 가늠자기 때문이다. 인사혁신처→국무조정실→행안부→다시 인사혁신처를 거친 결과, 인사혁신처로부터 노무현 정부 이후의 ‘역대 정부 장관 임명현황’ 목록만 받을 수 있었다. 이 자료에는 부처명·직위·이름·재임기간·정부명이 명시돼 있었다. 성별 표기는 따로 없었다. 역대 장관의 성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각 부처 누리집에 나와 있는 ‘역대 장관 목록’을 일일이 파악해야 했다. 사진이 없는 경우에는 과거 기사 등과 대조해 성별을 확인했다. 이를 토대로 900여개의 취재 리스트를 작성한 뒤, 부처별로 재확인하는 과정을 거쳤다. 자료를 찾아보고 확인해준 곳이 있는가 하면, 관련 자료가 없다고 답한 곳도 있었다. 특히 통폐합을 거친 부처일수록 지난 장관에 대한 정보 관리가 허술했다. 한 부처 관계자는 “따로 관리하는 장관 목록은 없다. 누리집에 게시된 내용이 전부”라고 말했다. 담당자가 누리집에 올라와 있는 장관 현황을 잘못 파악해 여성 장관 수를 틀리게 알려준 경우도 있었다. 한 부처 누리집에는 장관 재직 기간이 ‘1993.12.22.~1993.12.21.’로 올라 있는 등 관련 정보도 부실했다. 노무현 정부 이전 장관 데이터베이스가 없다 보니 벌어지는 일이다. 윤석열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 “구조적 성차별은 없다”고 선언했다. 하지만 역대 장관의 성별을 파악해보니, 공직 사회의 ‘구조적 성차별’은 과거에 견줘 크게 나아지지 않았다. 국가직 공무원 가운데 여성 비율이 50%가 넘은 지 오래지만, 여성 장관은 수십년 전이나 지금이나 여전히 한손에 꼽을 정도다. 지난 17일 세계경제포럼이 발표한 ‘세계 성 격차 보고서 2022’를 보면, 한국의 여성 장관 비율은 전체 146개 나라 가운데 58위였다. 한국에 앞선 30~50위권 나라들로는 케냐(51위), 레바논(42위), 덴마크(42위), 에콰도르(39위) 등이 있었다. 이주빈 기자
yes@hani.co.kr
관련기사
Adblock test (Why?)
[현장에서] 정부 어디에서도 관리않는 장관 성비 자료 - 한겨레
Read More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