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hercher dans ce blog

Thursday, June 30, 2022

최저임금 9620원 결정에 언론의 180도 다른 평가 - 미디어오늘

내년도 최저임금이 시간당 9620원으로 결정됐다. 진보성향 신문들은 고물가에 비해 최저임금 인상 폭이 미미한 점을 중점적으로 지적한 반면 보수·경제 신문들은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고 있다며 대조적인 시각을 보였다. 진보성향 신문들은 최저임금이 곧 최고임금인 노동자들의 하소연에 주목했고, 보수·경제 신문들은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의 피해를 부각했다.

한겨레 경향 “실질임금 삭감”

한겨레와 경향신문은 사설을 통해 물가 상승 대비 최저임금 인상 폭이 미미한 점을 짚었다. 한겨레는 “올해 물가상승률 수준의 인상률로서, 실질임금은 동결한 것이라 할 수 있다”며 “경제성장이나 노동생산성 증가를 전혀 반영하지 않았다는 점에서는 삭감”이라고 했다. 

▲ 1일 한겨레와 경향신문의 최저임금 관련 보도
▲ 1일 한겨레와 경향신문의 최저임금 관련 보도

경향신문은 “치솟는 물가를 감안하면 실질임금은 삭감될 수밖에 없다”며 “저임금 노동자들의 팍팍한 삶을 고려하지 않은 결정이 아쉽다”고 했다. 그러면서 “더구나 내년에는 따로 받던 식대나 교통비 같은 복리후생성 금품이 최저임금에 더 많이 산입된다”며 “노동자의 최저 생계비 보장이라는 최저임금 도입 취지에 명백히 어긋나는 일”이라고 했다.

경향신문은 ‘“최저임금, 내게는 최고임금... 항상 마이너스 생활” 한숨’ 기사를 통해 미미한 최저임금 인상폭으로 피해를 보는 노동자들을 조명했다. 빌딩에서 청소 업무를 하는 남미해씨의 경우 최저임금이 곧 최고임금인 상황이다. 경향은 이들 노동자에게 “최저임금 결정 소식에 시름이 더 깊어졌다”며 “3고(고물가, 고금리, 고유가)를 감당할 수 있을지 걱정했다”고 전했다.

▲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강규혁 위원장과 조합원들이 지난 29일 오전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인근에서 최저임금 대폭인상 안전한 일터 차별없는 노동권 쟁취 서비스연맹 투쟁선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민중의소리
▲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강규혁 위원장과 조합원들이 지난 29일 오전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인근에서 최저임금 대폭인상 안전한 일터 차별없는 노동권 쟁취 서비스연맹 투쟁선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민중의소리

조선일보 “최저임금 이미 상당히 높아”
한국경제 “임금발 인플레이션 우려”

반면 보수·경제 신문들은 이번 인상폭조차도 높다며 비판적으로 보도했다. 이들 신문은 소상공인과 자영업자 등 사회적 약자들의 목소리를 전하며 최저임금 인상이 이들에게 ‘피해’를 준다는 점을 부각했다.

한국경제는 ‘최저임금 6년간 48%올라... ‘임금발 인플레’에 기름 부었다’’ 기사를 내고 “최저임금이 시간당 9620원으로 결정되면서 임금발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최저임금 인상에 따라 물가가 추가로 오르는 악순환에 빠지고, 그 결과 영세 중소기업과 자영업자가 피해를 볼 것이라는 주장을 비중 있게 전했다. 이 주장은 ‘전국경제인연합회’의 입장문 내용이다.

▲ 1일 보수·경제신문들의 최저임금 보도
▲ 1일 보수·경제신문들의 최저임금 보도

중앙일보는 ‘321만 명이 최저임금 못 받는데, 무작정 올리다니’ 사설을 통해 “최저임금 대상자 가운데 최저임금을 받지 못한 근로자는 지난해 321만5000명에 달했다”며 “최저임금이 현실과 괴리가 있어 현장에서 지키지 못하고 있는 것”이라고 했다. 중앙일보는 “결국 영세 자영업자, 소상공인이 벼랑 끝으로 내몰렸고 알바 자리라도 절박한 구직자로부터 고용의 기회를 앗아갔다”고 평가했다.

조선일보는 ‘“임금 올려줄 여력 없어 이러면 알바생 못쓴다” 중소 상공인들의 한숨’ 기사에서 “직원 해고를 고려하고 있다” 등 소상공인 자영업자 커뮤니티 글 내용을 전했다. 또한 조선일보는 ‘중위임금 대비 최저임금 62.5%, OECD 국가 중 7번째’ 기사를 통해 ”다른 나라와 비교할 때 우리나라의 최저임금은 이미 상당히 높은 수준“이라며 ‘중위임금 대비 최저임금’에 초점을 맞췄다. 

▲ 1일 한국경제 기사
▲ 1일 한국경제 기사

‘중국과 거리두기’에 중앙도 “바람직하지 않아”

1일 언론은 윤석열 대통령의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 정상회의 참석의 의미를 분석했다. 

우선 한겨레와 경향신문은 공통적으로 ‘중국’과 거리를 두게 된 점을 다뤘다. 경향신문은 ‘나토와 가까워진 만큼 중러와 ‘거리’’ 기사를 내고 “우크라이나 전쟁을 계기로 나토의 중국 러시아 견제 강화에 호응한 것”이라며 “이는 큰 틀에선 한미동맹을 외교 전략의 중심축으로 삼고 미국과 행보를 같이 하려는 윤석열 정부 외교 전략이 깔린 것으로 풀이된다”고 밝혔다. 한겨레 역시 “윤 대통령이 반중기조 본격화에 나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고 풀이했다. 

▲ 1일 경향신문 기사
▲ 1일 경향신문 기사

이와 관련해선 중앙일보가 조선·동아일보와 달리 ‘한중관계’를 세심하게 관리해야 한다고 사설을 통해 주문했다. 중앙일보는 “중국은 교역 규모면에서 미국 일본 유럽보다 많고, 북한 비핵화 등 안보와 관련한 사안에서도 긴밀히 협력해야 할 나라”라며 “한국이 이런 중국과 등을 돌리고 대중 포위망에 앞장서는 것처럼 비치는 건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고 우려했다. 

‘중국’과의 거리는 멀어진 반면 ‘일본’과의 관계는 가까워질 전망이다. 조선일보는 이를 전달한 반면 한겨레는 우려를 표명했다. 조선일보는 ‘대통령실 “한일정상, 톱다운 방식으로 관계개선 기대”’ 기사를 내고 정부의 ‘관계개선 기대’ 입장을 전했다. 반면 한겨레는 ‘한일 ‘관계 개선’ 의지 확인, 군사협력 논의는 경계해야’ 사설을 내고 “곧바로 한미일 군사협력이 이슈로 떠오르는 모양새는 우려스럽다”며 “자칫 관계 개선을 서두르다가 우리의 원칙을 잃고 저자세 외교에 빠지는 일이 있어선 안 된다”고 했다. 

조선일보 또 ‘문재인 정부 인사’ 정조준

조선일보가 한상혁 방송통신위원장, 전현희 국민권익위원장, 민변 출신 검찰 인사들에 이어 문재인 정부에서 임명한 국책 연구원장들도 ‘정조준’하고 나섰다. 조선일보는 1일 사설에서 “문재인 정부에서 임명된 공공기관장과 대통령 직속 위원장뿐 아니라 국책 연구원장들이 새 정부에서 계속 자리를 지키고 있다”고 지목했다. 특히 조선일보는 소득주도성장을 설계하고 주도한 홍장표 KDI원장을 지목하며 “이런 인물이 소주성 폐기를 선언한 새 정부와 어떻게 함께하겠다는 것인가”라고 했다.

이어 조선일보는 정해구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이사장, 강현수 국토연구원장, 황덕순 한국노동연구원장, 이태수 보건사회연구원장 등을 언급하며 “그대로 자리를 지키고 있다”고 했다. 

▲ 1일 조선일보 사설
▲ 1일 조선일보 사설

경향신문은 오히려 검찰에서 문재인 정부와 큰 인연이 없더라도 ‘낙인’이 찍히는 문제를 조명했다. 최근 검찰에선 인사를 통해 좌천과 줄사표가 이어지고 있다. 경향신문은 “어쩌다 자리를 맡았을 뿐인데 지난 정부의 사람으로 찍혀 좌천된 검사들은 충격이 큰 상태”라는 한 부장검사의 발언을 전했다. 

Adblock test (Why?)


최저임금 9620원 결정에 언론의 180도 다른 평가 - 미디어오늘
Read More

No comments:

Post a Comment

사법농단과 잊혀진 시국사건 피해자 - 한겨레

한겨레신문 등록번호:서울,아01705 등록·발행일자:2011년 7월 19일 사업자등록번호:105-81-50594 발행인:최우성 편집인:김영희 청소년보호책임자:김영희 주소:서울특별시 마포구 효창목길 6 고객센터:156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