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힘 전국위 D-1…대구서 기자회견
“당헌당규 맘대로 흔드는 건
타인의 자유 침해하는 월권”
추가 징계 등 축출 움직임에
전통 지지층 민심 확보 나서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가 4일 오후 대구 중구 김광석 거리에서 당원들과 만나 발언하고 있다. 이 전 대표는 기자회견 방식으로 지역 당원들과 시민들을 만났다. 연합뉴스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는 4일 보수의 ‘심장’으로 꼽히는 대구에서 윤석열 대통령과 당을 향해 “모든 것은 부메랑”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또 윤 대통령과 ‘윤핵관’(윤석열 핵심 관계자)을 무조건적으로 따르는 대구 정치인들을 겨냥해, “대구가 죽비를 들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 전 대표가 국민의힘의 새 비상대책위원회 전환 반대 투쟁 차원을 넘어, 새로운 보수 대안으로 자신의 몸집을 키우려 하고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이 전 대표는 국민의힘 비대위 재구성을 위한 전국위원회를 하루 앞둔 이날 대구 중구 ‘김광석거리’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면담 신청자가 700명에 이르자 기존의 식사 모임에서 기자회견 형식으로 바꿨다는 설명이다. 이 전 대표는 “당대표가 내부 총질 한다며 마음에 들지 않아 하는 것도 자유요, 그를 내친 뒤에 뒷담화하는 것도 자유”라며 “하지만 그 자유를 넘어서 당헌·당규를 마음대로 개정하고 당무를 뒤흔들어 놓는 것은 타인의 자유를 침해하는 월권”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국민의힘의 모든 구성원에게는 문재인 정부의 잘못에 대해 지적할 자유만큼의 윤석열 정부에 대해 지적할 자유가 있다. 그것은 본질에서 동일한 자유”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이 강조하는 “자유”를 끌어다 윤 대통령과 당 실세들을 비판한 것이다. 그는 고 김광석의 노래도 방송금지곡이었던 때가 있다면서 “저는 금지곡을 계속 부르겠다”고 했다. 이 전 대표는 또 유승민 전 의원이 박근혜 정부 시절 “증세 없는 복지는 허구”라고 직격했다가 “배신자에 간신”으로 낙인찍혔던 사례를 들면서 “그 광기에는 이성과 논리보다는 절대자에 대한 맹종만 있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대구시민이 어디서 무얼 하고 있는지도 모르는 정치인들은 오늘도 초선이라는 이름 아래 누군가의 전위대가 되어서 활동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지난달 30일 비대위 전환을 반대하는 중진의원들을 비판하는 성명에 동참한 대구 초선은 7명이다. 이 전 대표는 집권세력이던 김영삼 대통령과 김종필 총재가 갈라선 뒤 1996년 15대 총선에서 신한국당이 대구 13개 의석 중 2석만 얻은 전례를 언급하고, “2022년 지금, 대구는 다시 한번 죽비를 들어야 한다”고 호소했다. 이 전 대표의 회견은 비판이 봉쇄된 당내 민주주의를 경고하면서 대구가 앞장서 이를 바로잡아 달라는 호소다. 그러나 향후 정치적 입지 확보를 위한 ‘큰 그림’과도 연결됐다는 풀이가 나온다. 이 전 대표는 지난달 법원의 국민의힘 비대위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에서 승리했지만, 당에서는 그에 대한 추가 징계 시사 등 ‘축출’ 움직임이 계속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이 전 대표가 ‘대구발 심판론’을 꺼내 들며 개혁적 보수 대안으로 재도약하는 장기적 발판을 구축하려는 게 아니냐는 것이다. 그는 지난달 27일부터 대구·경북 지역에 머물며 ‘보수 적통’을 강조하고 있다. 수도권의 한 중진 의원은 “(이 전 대표가) 당 주류와 싸우고 있는 상황에서 ‘정면 승부라면 대구가 아니겠는가’라고 판단하고 대구·경북을 가지 않았을까”라고 말했다. 이 전 대표가 이날 회견을 포함해 지속적으로 유승민 전 의원을 언급하면서 ‘희생양 동지’ 서사를 강조하는 점도 눈길을 끈다. 신율 명지대 교수(정치외교학)는 “당내 세력이 미미한 이 전 대표는 개혁보수를 주장하면서 유 전 의원 같은 사람과 연대할 수 있다는 인상을 줌으로써 세력 확장을 도모하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전 대표는 회견에서 “저는 대구 말고 수도권에서 어려운 정치 할 것”이라고 했다. 그는 출당 당할 경우 창당하겠냐는 질문에도 “창당의 영광을 그들(윤핵관)께 남겨두겠다”고 선을 그었다. 오연서 기자
loveletter@hani.co.kr 송채경화 기자
khsong@hani.co.kr
Adblock test (Why?)
이준석 “대구가 죽비 들어야”…보수텃밭서 '국힘 심판' 호소 - 한겨레
Read More
No comments:
Post a Comment